2020. 10. 19. 21:01ㆍ생물 Biology
1. 기관계와 에너지 대사
1)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소화계에서 영양소 소화와 흡수→ 흡수된 영양소는 순환계로 이동
①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② 3대 영양소의 소화 산물:
· 탄수화물=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 단백질= 아미노산
· 지방=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
③ 영양소의 흡수 및 운반: 소장에서 소화가 끝난 영양소는 소장 내벽 융털에서 모세 혈관& 암죽관 흡수→ 순환계→ 조직 세포
2) 기체 교환과 물질 운반: 호흡계에서 산소 흡수/ 이산화 탄소& 물 배출.
cf. 이해하기 쉽게 산소는 깨끗(하니까 조직세포로 들어가고), 이산화탄소는 더럽(니까 호흡계로 나가 버려짐)다고 생각!
① 호흡계: 코, 기관, 기관지, 폐 구성 → 공기와 접하는 표면적이 넓음. ( 펼쳐보면 엄청 넓다 ㅎ)
② 순환계: 심장, 혈관 등 구성
③ 기체 교환
· 산소: 폐포→ 모세 혈관→ 조직 세포 (순환계 통해서 조직세포로 들어감)
· 이산화탄소: 조직 세포→모세 혈관→ 폐포 (순환계 통해서 호흡계로 나감)
④ 순환계를 통한 물질 운반
3) 노폐물의 생성과 배설
① 노폐물의 생성과 제거: 노폐물은 혈액으로 , 날숨과 오줌으로 체외로
② 이산화 탄소 생성과 제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분해→ 이산화 탄소 생성
이산화 탄소는 폐로 운반→ 날숨으로 배출.
③ 물의 생성과 제거: 탄단지 분해→물(노폐물)이 생성 → 콩팥(오줌)/ 폐(날숨) 배출
④ 암모니아의 생성과 제거: 단백질의 분해→암모니아는 간으로 가서 요소→콩팥에서 오줌으로
2. ★기관계의 통합적 작용: 가장 많이, 어렵게 출제!!!!!!!!!! ★
1) 순환계와 다른 기관계의 상호 작용
① 소화계와 순환계: 영양소 소화, 흡수→ 조직 세포
· input: 음식물
· output: 소화되지 않은 찌꺼기
· 소화계 → 순환계: 영양소, 물
② 호흡계와 순환계:
산소: 폐→조직 세포
이산화 탄소:조직세포→ 폐로
· input: 산소
· output: 이산화탄소
· 호흡계 → 순환계: 산소
· 순환계 → 호흡계: 이산화탄소
③배설계와 순환계: 노폐물→ 콩팥→ 몸 밖으로
· input: 산소
· output: 이산화탄소
· 배설계 → 순환계: 물
· 순환계 → 배설계: 노폐물, 물
④ 순환계와 조직세포
· 순환계 → 조직세포: 산소, 영양소
· 조직세포 → 순환계: 이산화탄소, 노폐물
3. 대사성 질환과 에너지 균형
1) 대사성 질환: 물질대사 장애로 인한 질환
① 종류와 증상: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뇌혈관 질환
당뇨병 | 인슐린 부족/ 작용 x→ 고혈당 (오줌에 포도당 나올 정도로) |
고혈압 | 심 뇌혈관계 질환 원인 |
고지혈증 | 혈액 내 콜레스테롤/중성 지방 과다→ 동맥벽 탄력 감소, 동맥 경화→ 심혈관 질환 |
2. 대사 증후군: 체내 물질대사 장애→ 고혈압, 고혈당, 비만, 이상 지혈증 증상이 동시에
2) 에너지의 균형:
① 기초 대사량: 생명 유지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양
ex)체온, 심장 박동, 혈액 순환, 호흡(불수의적임)
② 활동 대사량: 생명활동으로 소모되는 에너지양
③ 1일 대사량: 하루 생활 필요한 총 에너지
=기초 대사량+ 활동 대사량+ 소화, 흡수 위한 에너지양
④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균형
· 에너지 섭취량> 에너지 소비량: 비만
·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섭취량: 영양부족
'생물 B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항상성 (0) | 2020.10.29 |
---|---|
5강 신경계 (0) | 2020.10.19 |
4. 자극의 전달 (0) | 2020.10.19 |
2. 생물- 생명활동과 에너지 전환과 이용 (0) | 2020.10.19 |
1. 생명과학의 이해: 생물의 특성과 바이러스의 특성 & 생명과학 탐구방법!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