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Korean history(17)
-
한국사-경제 발전과 사회 변화, 통일을 위한 노력
1. 산업화와 경제 성장 1) 6·25 전쟁 직후의 경제 1. 상황 : 대다수의 생산 시설 파괴, 생활필수품 부족, 물가 폭등 2. 미국의 경제 원조 •상황 : 농산물과 소비재 물품 중심의 물자 원조를 활용한 전후 복구 추진(삼백 산업 발달), 식 량 문제 다소 해결, 국내 농산물 가격 폭락 •변화 : 미국의 무상 원조가 1950년대 후반부터 유상 차관 방식으로 전환 3. 귀속 재산 처리 : 옛 일본 재산을 민간에 매각 → 특정 기업 중심으로 편중(정치계와 경제계가 연결되는 정경유착 문제 발생) 2)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1. 제1,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62~1971) : •경공업 육성, 노동 집약적 산업 중심, 수출 주도형 성장, 베트남 특수에 힘입어 고도성장 •경부 고속 국도(도..
2020.10.19 -
한국사-자유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1. 이승만 정부 1) 발췌 개헌(1952) 배경: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 5.) 결과 국회 내 이승만 지지 세력 급감 → 국회를 통한 간선제 방식으로는 이승만의 재선 가능성 희박 과정: 이승만이 임시 수도 부산에서 자유당 창당 → 계엄령 선포와 야당 국회의원 연행 → 대통령 직선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헌안을 통과시킴 결과: 대통령 직선제 실시 → 이승만이 제2대 대통령에 당선 2) 사사오입 개헌(1954) 배경: 당시 헌법에 따르면 이승만이 다음 대통령 선거에 출마 불가 과정: 개헌 통과 정족수에 1표가 부족하여 개헌안 부결 → 여당인 자유당이 사사오입의 논리를 내세워 개헌 안을 통과시킴 결과: 개헌 당시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 조항 미적용 → 이승만이 제3대 대통령에 당선 3) 독재 체..
2020.10.19 -
한국사- 대한민국정부수립과 6.25전쟁
1. 8·15 광복과 좌우익 세력의 갈등 1) 8·15 광복의 배경 1. 내적배경 : 우리 민족의 끊임없는 독립운동 전개 2. 외적 배경 : 연합국의 한국 독립 약속(카이로 회담 등), 연합국의 전쟁 승리 2) 38도선의 설정과 미군·소련군의 주둔 1. 38도선 : 미국이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한반도 분할 점령 제안 → 소련의 수용 2. 미군과 소련군의 주둔 미군: 북위 38도선 이남에서 군정 실시, 대한민국 임시 정부 및 조선 인민 공화국 부인, 일제의 식민 통치 기구 (조선 총독부의 관료와 경찰 조직) 유지 소련군: 북위 38도선 이북 지역 통치, 간접 통치 방식으로 김일성의 정권 장악 지원 3) 광복 직후 국내 정치 세력의 동향 1.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 조선 건국 동맹을 기반으로 결성,..
2020.10.19 -
한국사-국외민족운동과 건국준비활동
1. 1920년대의 무장 독립 투쟁 1) 독립군 부대의 편성 1. 배경 : 3·1 운동 이후 조직적인 무장 투쟁의 필요성 증대 2. 독립군 부대의 활동 •서간도 : 서로 군정서 등 •북간도 : 북로 군정서, 대한 독립군 등 2) 독립군 부대의 승리 1. 봉오동 전투(1920. 6.) •배경 : 독립군의 활발한 국내 진공 작전 전개 → 일본군이 독립군 근거지 공격 •참가 부대 : 대한 독립군(홍범도), 군무 도독부(최진동) 등 독립군 연합 부대 •전개 : 봉오동에서 매복 작전으로 일본군 격퇴 2. 청산리 대첩(1920. 10.) •배경 : 봉오동 전투에서 패한 일본군이 대규모 부대를 만주에 파견 •참가 부대 : 북로 군정서(김좌진), 대한 독립군(홍범도) 등 독립군 연합 부대 •전개 : 일본군과 청산리 일..
2020.10.19 -
한국사- 일제의 식민통치와 경제수탈
1. 일제의 식민지 통치 제도 1) 조선 총독부 : 1910년에 설치,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의 최고 기구 1. 총독 : 일본 육해군 대장 중에서 임명, 입법·사법·행정 및 군사권 장악 2. 관제 : 정무총감(행정 담당), 경무총감(치안 담당) 등 2) 중추원 : 조선 총독의 자문 기구, 친일파를 우대하고 한국인의 정치 참여를 선전하려는 목적으로 이용 2. 일제의 무단 통치와 경제 수탈 1) 무단 통치 1. 헌병 경찰 제도 •헌병이 일반 경찰 업무 및 행정 업무 수행 •헌병 경찰은 재판 없이 즉결 처분권 행사 2. 공포 분위기 조성 : 조선 태형령 제정, 관리와 교원도 군경과 같이 제복을 입고 칼을 착용 3. 기본권 박탈 : 한국인의 언론·집회·출판·결사의 자유 제한, 한국인이 발행하는 신문 폐간, 각종..
2020.10.18 -
한국사- 개강이후 경제와 사회문화의 변화
1. 열강의 경제 침탈 1) 개항 초기의 무역 상황 1. 일본 상인의 특권 : 강화도 조약과 부속 조약을 통해 각종 특권(영사 재판권, 일본 화폐 사용, 무관세 무역 등)이 일본 상인에게 부여됨 2. 일본 상인의 활동 범위 제한 : 개항장 10리 이내 → 일본 상인은 조선 상인(객주, 여각, 보부상 등)을 중개로 무역 2) 일본과 청의 무역 경쟁 1. 배경 : 임오군란 이후 청의 영향력 강화 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1882) : 청 상인의 특권 보장(양화진과 한성에 상점 개설 허용, 영사 재판권·내지 통상권 인정 등) → 청 상인의 본격 진출 3. 조일 통상 장정 체결(1883) : 일본 상품에 관세 부과, 일본에 대한 최혜국 대우 규정 4. 결과 : 청·일 상인 간 상권 경쟁 심화, 조선..
2020.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