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19. 21:28ㆍ생물 Biology
1.뉴런
1) 뉴런의 구조
① 신경 세포체: 핵, 미토콘드리아 등이 있는 신경 세포체는 Energy, 물질 생성→ 생명 활동 조절.
(신경세포체가 중심임.)
② 가지 돌기(짧음): 다른 뉴런에서 자극 수용하는 역할.
③ 축삭 돌기(스윗홈 괴물의 축삭은 엄청 김): 흥분을 다른 뉴런으로 전달하는 역할.
④ 말이집: 슈반 세포가 뉴런의 축삭 돌기를 반복적으로 감아 형성된 구조
말이집에선 흥분 발생x, 랑비에 결절(말이집이 없는 축삭)에선 흥분 발생o
2) 뉴런의 종류
① 말이집 유무구분
· 민말이집 뉴런: 축삭 돌기에 말이집x→축삭돌기 전체에서 흥분(속도가 느림)
· 말이집 뉴런: 축삭 돌기의 일부가 말이집 싸여 있음→ 말이집 없는 랑비에 결절에서만 흥분. 도약전도!!
(말이집은 흥분 생략해도 된다!→ 민말이집에 비해 흥분 덜 해도 된다 → 민말이집보다 빠름)
② 기능에 따른 구분
- 구심성 뉴런(감각 뉴런): 감각 기관 자극→ 연합 뉴런 (올라간다고 생각하자)
· 가지 돌기 김
· 신경 세포체가 축삭 돌기 중간 존재
- 연합 뉴런: 구심성 뉴런과 원심성 뉴런 연결
· 뇌와 척수에 존재
· 구심성 뉴런이 흥분 주면 정보 처리→ 원심성 뉴런에 전달
- 원심성 뉴런(운동 뉴런): 연합 뉴런이 반응 명령→ 반응 기관으로 흥분 전달
· 길게 발달된 축삭 돌기 말단- 반응 기관
· 신경 세포체: 크게 발달
3) 자극의 전달 경로:
· 자극 → 감각 기관 → 구심성 뉴런 → 연합 뉴런 → 원심성 뉴런 → 반응 기관 → 반응
2. 흥분의 전도
1) 분극
① 분극(양극으로 나누어진 상태, 휴지 상태):
· 안쪽: -전하
· 바깥쪽: +전하
② 분극 원인:
· Na+-K+ 펌프: ATP 분해하여 얻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포 안의 Na+→ 세포 밖/세포 밖 K+→ 세포 안.
· Na+: 세포 밖> 안
· K+ 농도: 세포 안> 밖
· 휴지 상태: K+ 통로가 일부 열림 → K+이 안에서 밖으로 확산& Na+ 통로는 거의 대부분 닫힘 → Na+이 밖에서 안으로 확산 x. 세포 안에는 -전하 단백질이 세포 밖보다 많이 존재. 이러한 이온의 불균등 분포, 이온의 막 투과도 차이, 음(-)전하 단백질로 인해 세포막 안: -전하, 세포막 밖: +전하
이온 | 세포 밖 | 세포 안 |
K+ | + 3.5~5mM | 150mM |
Na+ | + 135~145mM | 15mM |
③ 휴지 전위: 분극 상태에서 세포 안 밖 전위차
· 뉴런 휴지 전위: -70mV.
2) 탈분극: Na+유입, Na+이 밖에서 안으로!!
① 탈분극: 역치 이상의 자극→ 막전위가 상승
② 탈분극의 원인: 역치 이상 자극→ Na+ 통로가 open→ Na+에 대한 막 투과도증가→ Na+이 세포 안으로 급격하게 확산.
3) 재분극: K+ 유출, k+이 안에서 밖으로!!
① 재분극: 상승한 막전위가 다시 휴지 전위로 하강.
② 원인: 열린 Na+ 통로는 시간 지나면 닫히고, 닫혀 있던 K+ 통로가 열림. →Na+의 막 투과도는 감소, K+의 막 투과도 증가→ Na+ 통로를 통해 Na+의 확산 감소, K+ 통로 통해 K+ 확산 증가→막전위가 하강(재분극).
③ 과분극: 재분극→ 막전위가 휴지 전위(-70mV)보다 더 낮은 -80mV까지 하강→ 휴지 전위로 회복.
이처럼 뉴런의 막전위가 휴지 전위보다 감소
4) 활동 전위
① 활동 전위: 휴지 상태인 뉴런의 한 지점에 역치 이상의 자극→ 막전위가 빠르게 상승→ 하강.
② 활동 전위와 전도: 뉴런의 한 지점에서 활동 전위→ 일정 시간 뒤 그 지점과 가까운 지점에서 다시 활동 전위 발생 연쇄적으로 활동 전위 발생→ 흥분이 뉴런 내에서 이동
5) 흥분의 전도 과정
① 뉴런의 특정 부위에 탈분극이 일어나 활동 전위→ 일정 시간 뒤 인접한 부위에서도 탈분극→ 활동 전위 발생 → 흥분이 축삭 돌기를 따라 뉴런의 말단 부위까지 전도.
② 축삭 돌기의 중간 지점에서 활동 전위가 발생→ 흥분 전도는 양방향 진행.
분극 | by Na+-K+ 펌프 작용& 열린 K+통로 통한 K+유출 |
탈분극 | 역치이상 자극→ Na+통로 open →Na+이 세포안으로확산 |
재분극 | 세포안: + → K+열림 → K+이 세포밖 확산 |
분극 | by Na+-K+ 펌프 작용 |
3. 흥분의 전달
1) 흥분의 전달
① 흥분의 전달: 자극→ 활동 전위가 발생한 뉴런에서 흥분이 다음 뉴런의 가지 돌기/ 신경 세포체로 전달
② 시냅스: 뉴런의 축삭 돌기 말단과 다른 뉴런의 가지 돌기/ 신경 세포체가 약 20nm의 틈을 두고 접한 부위. 하나의 뉴런이 다수의 뉴런과 시냅스 형성. 시냅스 이전 뉴런- 시냅스 -시냅스 이후 뉴런.
③ 흥분 전달 과정
· 시냅스 이전 뉴런 흥분→ 축삭 돌기 말단→ 축삭 돌기 말단의 시냅스 소포 +세포막→ 시냅스 소포 안신경 전달 물질→ 시냅스 틈.
· 신경 전달 물질 확산→ 시 냅스 이후 뉴런의 신경 전달 물질 수용체에 결합→ 시냅스 이후 뉴런의 이온 통로 열림 → 탈분극.
2) 흥분의 전달 방향: 시냅스 소포는 축삭 돌기 말단→ 흥분은 항상 시냅스 이전 뉴런의 축삭 돌기 말단에
서 시냅스 이후 뉴런의 가지 돌기/ 신경 세포체로만 전달.
5. 근육의 수축
1) 골격근의 작용
① 골격근: 힘줄에 의해 뼈에 붙어있음. 운동 뉴런이 명령→ 수축뼈끼리는 관절과 인대로 연결
· 팔 굽힐 때: 이두박근 수축
· 펼 때: 삼두박근 수축.
2) 골격근의 구조
① 골격근의 구조:
· 골격근→ 여러 개 근육 섬유 다발→ 여러 개 근육 섬유
. 근육 섬유는 근육을 구성하는 근육 세포로 여러 핵이 존재. 근육 섬유에는 미세한 근육 원섬유 다발이 들어 있으며, 이 근육 원섬유는 가는 액틴 필라멘트와 굵은 마이오신 필라멘트 등으로 구성. 근육 원섬유를 관찰하면 밝은 부분인 명대(I대)와 어두운 부분인 암대(A대) 반복, 명대의 중앙에 Z선이 관찰됨.
액틴 + 마이오신 필라멘트 → 근육원섬유마디→근육원섬유→근육섬유→근육섬유다발→근육
② 근육 원섬유 마디(Z선과 Z선 사이)의 구조:
· A대: 마이오신 필라멘트가 존재하는 부분
· I 대: 액틴 필라멘트만! 밝음!!
· H대: 근육 원섬유 마디 중앙에 마이오신 필라멘트만!!
· H대 옆으로 마이오신& 액틴 필라멘트가 겹쳐진 부분.
3) 골격근의 수축 원리
① 활주설: 액틴 필라멘트가 마이오신 필라멘트 사이로 슬라이딩~→ 근육 원섬유 마디 길이 감소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근수축.
② 근수축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H대의 길이,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라멘트가 겹쳐진 부분의 길이, I대 길이변화.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라멘트의 길이는 변화x.
③ 마이오신 필라멘트 길이와 같은 A대의 길이 변화x. A대의 길이는 H대와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라멘
트가 겹쳐진 부분을 합한 길이→ 근수축이 일어날 때 H대가 줄어든 길이만큼 액틴 필라멘트와 마이오신 필라멘트
가 겹쳐진 부분의 길이 증가.
④ 근수축 강→ H대는 사라지기도
4) 근수축의 에너지원
① 근수축의 에너지원: ATP가 분해→방출되는 에너지는 액틴 필라멘트가 마이오신 필라멘트 사이로 미끄러질 때
② 근육의 ATP 생성: ATP는 크레아틴 인산의 분해, 세포 호흡 등으로 생성.
· 크레아틴 인산→ 크레아틴→ ATP가 빠르게 생성. 지속되는 시간이 짧음.
· 근수축의 초기: 크레아틴 인산의 분해→ 생성되는 ATP를 이용
· 이후: 포도당 등을 이용한 세포 호흡→ 생성된 ATP가 근수축에 공급
'생물 B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항상성 (0) | 2020.10.29 |
---|---|
5강 신경계 (0) | 2020.10.19 |
3. 물질대사와 건강 (0) | 2020.10.19 |
2. 생물- 생명활동과 에너지 전환과 이용 (0) | 2020.10.19 |
1. 생명과학의 이해: 생물의 특성과 바이러스의 특성 & 생명과학 탐구방법!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