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항상성

2020. 10. 29. 23:47생물 Biology

1. 호르몬의 특성과 종류
1) 호르몬의 특성
내분비샘에서 생성혈액/ 조직액으로 분비.

cf. 내분비샘: 분비관 x. ex)뇌하수체, 갑상샘

외분비샘: 분비관 o. ex)땀샘, 침샘 소화샘, 눈물샘
② 혈액으로 이동 특정 호르몬 수용체를 가진 표적 세포 작용.

③ 미량으로 생리 작용을 조절. 부족 결핍증이, 과다 과다증.

 

2) 호르몬과 신경의 작용 비교
 호르몬

표적세포에만 반응(혈액 통해), 전달 속도 느림, 효과 지속적
 신경

인접한세포에만 반응(신경/ 시냅스), 전달 속도 느림, 효과 지속적

 

3)사람의 내분비샘과 호르몬

내분비계 질환
1) 당뇨병
1. 원인: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 나타나는 질병으로 인슐린 분비 이상이나 표적 세포
가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못 나타난다.
 증상: 오줌으로 포도당 검출 다음, 다뇨 , 다갈 (당뇨의 3가지 대표 증상)

시각흐려짐/  피로 
3. 합병증: 체중 급격감소, 콩팥, 눈, 손, 발 등에 심각한 합병증.
4. 종류

종류 원인   예방 및 치료 
제1형 당뇨병 이자 베타세포가 파괴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함  인슐린 처방, 혈당량을 급속히 증가시키는 음식물 섭취 조절 
제2형 당뇨병 인슐린의 표적 세포가 인슐린에 정상 반응x 약물 치료,음식물 섭취 조절, 운동


2) 거인증과 소인증
1. 원인
-생장 호르몬의 분비량이 너무 많 거인증, 생장 호르몬의 분비량이 너무 적 소인증.
-거인증vs 말단 비대증 구분: 성장판이 닫혔느냐로 구분

성장판 열림 → 거인증

성장판 닫힘 → 말단비대증 (성장판 닫히니 키가 클 수 없고 말단이라도 커지는 것)


 치료: 약물 치료나 뇌하수체 종양 제거로 치료할 수 있다.
3) 갑상샘 기능 항진증과 저하증
1. 원인: 티록신 분비량 과다 갑상샘 기능 항진증, 티록신 분비량 과소 갑상샘 기능 저하증.
 증상 및 치료

종류 증상 치료
갑상샘 기능 항진증 대사량 증가: 체온이 상승하고, 땀을 많이 흘리고, 체중이 감소하고, 심박 수와 심장 박출량이 증가. 성격이 
과민해지고, 눈이 돌출
갑상샘 기능 억제제 복용 
방사성 아이오딘 치료 
갑상샘 기능 저하증 대사량 감소: 동작이 느려지고, 추위 많이 타고, 체중이 증가, 심박 수와 심장 박출량 감소함  아이오딘제 복용


항상성
정의:  체내·외의 환경 변화에 대해 혈당량, 체온, 혈장 삼투압 등의 체내 환경을 정상 범
위 유지하는 성질, 주로 내분비계와 신경계의 작용에 의해 조절.
1) 항상성 유지의 원리
1. 음성 피드백: 어느 과정의 산물이 그 과정을 억제하는 조절.
ex) 티록신의 분비 조절

-혈중 티록신의 농도 증가 티록신에 의해 시상 하부의 TRH와 뇌하수체 전엽의
TSH 분비가 각각 억제 혈중 티록신의 농도가 감소 
-혈중 티록신의 농도 감소 시상 하부의 TRH와 뇌하수체 전엽의 TSH 분비가 각각
증가되어 혈중 티록신의 농도증가.
 길항 작용: 두 가지 요인이 같은 기관에 대해 반대 작용 → 효과줄여 정상범위내로 조절함
. ex)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에 의한 심장 박동 속도 조절, 인슐린
과 글루카곤에 의한 혈당량 조절

2) 혈당량 조절: 혈액 속에 있는 포도당의 농도,

정상인의 혈액에는 100mL당 약 75mg∼125mg의 포도당.  혈당량은 이자에서 체내 혈당량을
직접 감지 조절 일정하게 유지, 간뇌의 시상 하부에서 자율 신경을
통해 이자/ 부신 자극 혈당 조절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 일정하게 유지
1. 정상인의 혈당량은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의해 정상 범위 유지.

인슐린: 간에서 포도당 글리코젠 전환(글리코젠 합성 촉진) 혈당량 감소

글루카곤: 간에서 글리코젠 포도당으로 전환(글리코젠 분해 촉진) 혈당량 증가

 

2. 혈당량 조절과정(매우 중요★)

-혈당량 과다: 이자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증가 → 분비
된 인슐린이 간에 작용 포도당이 글리코젠으로 합성되는 과정이 촉진, 혈액에서
조직 세포로의 포도당 흡수 촉진 → 혈당량이 정상 범위까지 낮 음성 피드백에 따
라 인슐린 분비량 감소
-혈당량 과소: 이자의 알파세포에서 글루카곤 분비가 증가 → 분
비된 글루카곤이 간에 작용 글리코젠이 포도당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촉진 포도당
을 혈액으로 방출 → 혈당량이 정상 범위까지 높음성 피드백에 따라 글루카곤의 분비량 감소

알파- 글루카콘 외우는 팁: 알파 문고에서 풀(glue)를 샀다. 


-길항 작용: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간에서 길항 작용 →혈당조절

3) 체온 조절
1. 체온 유지 원리: 간뇌의 시상하부가 체온조절함자율 신경과 호르몬 작용→ 열 발생량과 열 발산량을
조절체온 유지.

2.체온조절과정


-체온이 정상 범위보다 낮아졌을 때: 시상 하부가 저체온을 감지하면 골격근이 빠르게 수
축·이완되어 몸이 떨리고, 열 발생량이 증가한다. 또한 피부 근처의 혈관이 수축됨으로써
피부 근처를 흐르는 혈액의 양이 감소하여 열 발산량이 감소.
-체온이 정상 범위보다 높아졌을 때: 시상 하부가 고체온을 감지하면 피부 근처 혈관이 확
장되어 피부 근처를 흐르는 혈액의 양이 증가하고, 땀 분비가 촉진됨으로써 열 발산량이
증가.

4) 삼투압 조절: 혈장 삼투압은 세포의 모양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 혈장 삼투압이
정상 범위보다 높거나 낮으면 세포의 부피가 변하고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기 어렵다.
1. 간뇌의 시상 하부는 삼투압 조절 중추로 혈장 삼투압을 감지하여 항이뇨 호르몬(ADH)의
분비량을 조절함으로써 정상 범위의 혈장 삼투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
2.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 호르몬(ADH)은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
장 삼투압을 감소
3. 체내의 수분량과 혈장 삼투압에 따른 항이뇨 호르몬(ADH)의 분비량에 의해 혈장 삼투압이
조절.

-혈장 삼투압이 정상보다 높: 뇌하수체 후엽에서 ADH  분비 증가 →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량 증가 → 혈액 내 물의 양 증가, 오줌 내 물의 양 감소 → 혈장 삼투압 감소, 오줌의 삼투압 증가
-혈장 삼투압이 정상보다 낮: 뇌하수체 후엽에서 항이뇨 호르몬(ADH)의 분비
량 감소 → 콩팥에서 물의 재흡수량 감소 → 혈액 내 물의 양 감소, 오줌 내 물의 양 증가
→ 혈장 삼투압 증가, 오줌의 삼투압 감소

 


생물은 일단 외우다보면 이해가 간답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힘드시겠지만, 암기하다 보면 양이 줄을 테니 조금만.. 힘내세요 ㅎㅎ


 


'생물 B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유전정보와 염색체  (0) 2020.10.29
7.방어작용  (0) 2020.10.29
5강 신경계  (0) 2020.10.19
4. 자극의 전달  (0) 2020.10.19
3. 물질대사와 건강  (0) 202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