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통일신라와 발해

2020. 10. 17. 20:43한국사 Korean history

1. 통일 신라 발전
1) 왕권 강화
1. 태종 무열왕 : 진골 출신. 혜공왕까지 후손이 왕위를 계승
2. 문무왕 : 삼국 통일  
3. 신문왕

-국학에서 유학 교육
-김흠돌 등 진골 귀족 세력 숙청 → 왕권 강, 진골 약 
-관료전 0, 녹읍 x → 귀족의 경제 약

 

2) 통치 체제 정비
1. 중앙 정치 조직
-왕명 집행하는 집사부&  장관인 시중(중시) 권한 강 
-관리 비리 감찰하는 사정부 
2. 지방 행정 조직
- 신문왕:  9주 5소경 
- 주 아래에 군현 설치(지방관 파견), 군현 밑 촌은 촌주가 관리
- 지방 세력 견제 위해 상수리 제도 
- 향·부곡 : 특수 행정구역, 농민보다 많은 공물 부담
군사 조직:

-중앙관- 9서당

-지방군 -10정(주마다 1정씩 / 한주에만 2정 배치)

 

3) 신라 말의 동요
1. 중앙 정치 문란 : 진골 귀족 간 극심한 왕위 쟁탈전(혜공왕 피살 -> 150년 간 20명 왕 바뀜)

왕권 약, 지방 통제력 약->김헌창의 난 
2. 농민 봉기 : 지배층의 세금 수취, 자연재해->  농민 몰락 증가 → 진성 여왕 : 원종과&애노의 봉기(889)  
3. 새로운 세력의 성장
-호족 : 지방의 행정권, 군사권 장악 → 반독립적 세력 
-6두품 세력 : 골품제 비판, 지방 호족과 함께 새로운 사회 건설 모색

 

4) 후삼국 성립
1. 배경 : 왕권 약-> 지방 호족 강
2. 후백제 건국(900) : 견훤, 도읍지: 완산주(전주) 
3. 후고구려 건국(901) : 궁예,  도읍지: 송악(개성)→ 철원

 

2. 발해의 성립과 발전
1) 건국과 발전
-고왕(대조영): 고구려 유민 대조영이  동모산에서 건국(698)
-무왕: 당 산둥 지방 공격(장문휴), 돌궐·일본과 협력-> 당·신라 견제, 독자적 연호  
-문왕: 당과 친선 → 당의 문물 수용, 신라랑도 교류
-선왕: 말갈족 복속, 요동으로 진출 → ‘해동성국’

 

2) 통치 체제
1. 중앙 정치 조직 : 3성 6부 → 당 제도 수용.(명칭, 운영 방식: 독자적) 
2. 지방 행정 조직 : 5경 15부 62주, 지방관 파견, 말단 촌락: 토착 세력이 관리
3) 멸망 : 거란이 멸망시킴(926) → 남은 발해민은 고려로 
4) 역사적 의의 : 고구려 계승 표방(옛 고구려의 영토 회복, 일본 국서에 ‘고려 국왕’), 고구려 문화와 유사성(온돌장치, 고분의 모줄임천장 구조 등)

 

3. 남북국 시대의 경제와 사회
1) 경제생활
1. 통일 신라 
-토지 제도 : 신문왕 때 관료전, 녹읍 x, 성덕왕: 백성에게 정전 0 
-수취 제도 : 조세(생산량의 10분의 1 수취), 공물(특산물 징수), 역(노동력 징발) 
-민정 문서(신라 촌락 문서) : 세금 징수 목적으로 3년마다 작성, 촌락마다 토지 면적, 인구수, 소·말의 수  기록 
2. 발해: 밭농사, 목축 수렵 발달
2) 사회 모습
통일 신라
-민족 융합 정책 : 고구려와 백제의 지배층에 관등 수여, 중앙군인 9서당에 고구려인과 백제인, 말갈인
-골품제 : 승진막음 
발해:

-지배층 : 대씨와 고씨 등 고구려계가 다수, 소수의 말갈계로 구성

-피지배층 : 말갈계가 다수

 

4. 남북국 시대 문화
1) 불교
1. 통일 신라 
-원효 : 일심 사상과 화쟁 사상 주장, 아미타 신앙 전파 → 불교 대중화
-의상 : 화엄 사상 정립, 관음 신앙 전파, 부석사 등 많은 사원 건립 
-혜초 : 인도와 서역 순례-> 왕오천축국전 저술 
-선종 유행 : 참선 수행 , 통일 신라 말에 지방 호족 후원으로 확산 → 9산 선문 
발해: 고구려 불교 계승(왕실과 귀족만)

2) 유학
1. 통일 신라: 
-신문왕이 유학 위해 국학 설치, 원성왕이 독서삼품과
-유학자의 활동 : 강수(외교 문서 씀), 설총(이두 정리), 김대문(화랑세기 씀), 최치원(당 유학 후 개혁안-> 거부)
2. 발해: 유학 교육 위해 주자감 설치,당에 유학생 (빈공과)

 

3) 풍수지리설의유행
1. 도선 (선종 승려)가 중국에서 풍수지리설 수용 → 신라 말 유행
2. 영향 : 금성(경주) 중심 개념 더이상 x

 

4) 과학 기술, 예술
1.통일 신라 
-목판 인쇄술 : 무구정광대다라니경(가장 오래된 목판) 
-불교영향 : 경주 불국사 3층 석탑, 경주 석굴암 본존불, 승탑(선종 영향)  
2. 발해: 이불병좌상, 영광탑, 석등, 돌사자상 

 

5. 남북국 시대 대외 교류
통일 신라와 다른 나라들 관계: 
당 : 공무역, 사무역 → 신라방  
일본 : 문화 교류, 상품 교역
이슬람 상인 : 울산항에서 무역
장보고 : 완도에 청해진, 황해. 남해 해상 무역권 장악
발해와 다른 나라들 관계: 
신라 : 문왕부터 신라도 통해 교류
당 : 해로& 육로로 무역(산둥반도의 등주에 발해관)

일본 : 사신, 친선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