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17. 21:07ㆍ한국사 Korean history
1. 고려의 경제
1) 토지 제도
1 역분전(태조) :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지급
2 전시과 : 문무 관리 등에게 토지(전지, 시지)를 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수조권 행사)
3 민전 : 귀족이나 일반 평민이 소유한 토지, 매매·상속·임대·기증 등 가능
공음전: 5품 이상 관료에게 지급, 자손에게 세습 가능 → 귀족의 경제 기반
군인전: 군역의 대가로 지급, 군역 세습에 따라 자손에게 세습
기타: 구분전(하급 관리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내장전(왕실 경비 마련), 공해전(관청의 경비 조달) 등
2) 수취 제도
운영: 양안(토지 대장)과 호적을 작성하여 조세·공납·역 부과
조세:
•징수 : 생산량의 10분의 1 징수(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
•운송(조운) : 지방에서 거둔 조세를 주로 뱃길로 개경으로 운송
공납:
•징수 : 토산물 징수(중앙 정부에서 주현에 부과 → 지방관이 관할 행정 구역별로 할당 → 향리가 호
를 기준으로 부과)
•종류 : 상공(매년 정기적으로 징수), 별공(필요에 따라 수시 징수)
역:
•노동력 징발(16세 이상 60세 미만의 양민 남자)
•요역(토목 공사 등에 동원), 군역(주진군·주현군 등에서 국방 의무 수행)
3) 농업의 발달
1 농민 안정 정책 : 개간 장려, 농번기에 잡역 금지, 재해 발생 시 조세 감면 등
2 농업 기술 발달 : 시비법 발달(휴경지 감소), 2년 3작 보급, 고려 말 일부 지역에 모내기법 보
급, 원으로부터 “농상집요”가 소개되고 목화 전래
4) 수공업의 발달
고려 전기
•관청 수공업 : 관청에 소속된 기술자를 이용하여 필요 물품 생산
•소 수공업 : 소 주민들이 생산하여 관청에 공물로 납부(종이, 자기 등)
고려 후기
•사원 수공업 : 사원에 소속된 노비나 승려가 생산(베, 기와, 소금 등)
•민간 수공업 : 주로 농민이 가내 수공업으로 생산(베, 모시 등)
5) 상업과 무역의 발달
1 상업
도시: 개경에 시전을 설치하고 경시서를 통해 상업 활동 관장, 대도시에 관영 상점 설치(서적·약·차 등 판매)
지방: 시장이 열려 일반 백성이 물품 교환, 행상 활동
2 화폐 : 건원중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은병(활구) 등 발행 → 유통 부진, 일반적인 거래에는
곡식이나 삼베 사용
3 대외 무역 :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 송·거란·여진·일본·아라비아 상인 등 왕래
2. 고려의 사회
1) 신분 제도
귀족
•최고 지배층 : 왕족·고위 관료 등
•유력 가문 간의 혼인 관계, 음서와 공음전의 혜택
•지배 세력 변천 : 문벌 귀족 → 무신 → 권문세족
중류층
•중간 지배층 : 서리, 남반, 향리, 하급 장교 등
•직역의 대가로 토지 지급, 자손에게 직역과 토지 세습
양민
•농민 : 양민의 대다수 차지, 백정으로 불림, 조세·공납·역 부담
•상인, 수공업자 : 일정한 세금과 역 부담
•향·부곡·소 주민 : 일반 군현의 주민에 비해 차별 대우받음, 거주 이전의 자유 제한
천민
•노비 : 천민의 대다수 차지, 재산으로 취급(매매, 상속, 증여 가능)
- 공노비 : 입역 노비(관청 등에서 잡역), 외거 노비(신공 납부)
- 사노비 : 솔거 노비(주인집에서 잡일), 외거 노비(주인과 따로 거주, 신공 납부)
2) 신분 변동
1 특징 : 신라 사회에 비해 개방적(부분적으로 신분 변동 가능)
2 내용 : 상층 향리가 과거를 통해 문관으로 진출, 하급 군인이 군공을 세워 무관으로 진출, 노비
가 재산을 모아 양민으로 신분 상승
3) 사회 제도와 농민 공동체
1 사회 제도 : 의창(빈민 구제), 상평창(물가 조절), 동·서 대비원, 혜민국, 제위보 등
2 향도
활동: 매향 활동, 불상·석탑 제작 등에 노동력과 비용 제공(불교 신앙 조직)
변화: 마을 공동 의식을 주관하는 농민 공동체로 활동 확대
4) 가족 제도와 여성의 지위
1 가족 제도 : 자녀에게 재산을 고르게 상속, 제사도 자녀가 동등하게 부담
2 여성의 지위
•특징 : 사회 활동은 제한받음, 가족생활에서는 남성에 비해 큰 차별을 받지 않음
•내용 : 남녀 구분 없이 태어난 순서대로 호적에 기재, 여성도 호주 가능, 사위·외손자에게도
음서 혜택 적용, 여성의 재가가 비교적 자유로움
3. 고려의 사상과 문화
1)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1 유학의 발달
배경: 과거제 시행으로 유학 교육 확산, 유교적 통치 체제 정비(성종)
성리학 수용: 안향이 소개(충렬왕 때) → 이제현·이색 등에 의해 성리학에 대한 이해 심화 → 정도전·정몽주 등 신진 사대부를 중심으로 적극 수용
2 교육 기관
•관학 : 중앙의 국자감(유학부와 기술학부)과 지방의 향교 → 국자감이 성균관으로 개편(고려 말)
•사학 : 사학 12도 융성(최충의 9재 학당 등) → 관학 위축
•관학 진흥책 : 서적포 설치(숙종), 전문 강좌인 7재와 양현고 설치(예종)
3 역사서의 편찬
전기: 실록 편찬(전하지 않음), “삼국사기”(김부식 등 편찬, 기전체,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반영)
후기: •‘동명왕편’(이규보), “삼국유사”(일연), “제왕운기”(이승휴) : 민족적 자주 의식 표현
•“사략”(이제현) : 성리학적 유교 사관 반영
2) 불교의 발달
1 불교 정책 : 숭불 정책, 태조의 훈요 10조(연등회, 팔관회 중시), 광종(승과, 국사·왕사 제도 정비)
2 불교의 발달
의천: 해동 천태종 창시(교종 중심의 선종 통합 시도), 교관겸수(교리 탐구와 실천 수행을 모두 중시) 제창
지눌:
•수선사를 중심으로 결사 운동 전개(수행과 노동 중시)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과의 조화 추구,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강조
혜심: 유·불 일치설 주장 → 성리학 수용의 토대 마련
요세: 백련사 결사 조직, 참회의 수행 방법 강조
3. 대장경의 간행 : 초조대장경(거란의 침입에 대응하여 제작, 몽골의 침입으로 경판 소실), 팔만
대장경(몽골의 침입에 대응하여 제작, 경남 합천 해인사 소장,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등재)
4 고려 말 불교의 폐단 : 권문세족과 연결(세속화 심화), 사원 부패(막대한 토지와 노비 소유)
3) 도교와 풍수지리설
1 도교 : 왕실과 국가의 안녕 기원, 불로장생, 현세 구복 등 추구, 초제 거행
2 풍수지리설 : 남경 설치와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에 영향
4) 과학 기술의 발달
1 금속 활자 : 세계 최초로 금속 활자 발명, “상정고금예문”, “직지심체요절” 등 인쇄
2 역법 : 수시력 채용
3 화약 무기 : 화약 제조 성공(최무선) → 화통도감 설치(화약과 화포 제작) → 왜구의 침입 격퇴
5) 문화의 발달
1 고려청자 : 송의 자기 기술 수용 → 순청자 → 상감 청자로 발전
2 조각과 건축의 발달
불상: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 좌상(신라 양식 계승),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거대 불상) 등
석탑: 다각 다층탑 유행,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원의 영향)
건축: 안동 봉정사 극락전(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한국사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조선의 대외관계와 양난의 극복 (0) | 2020.10.17 |
---|---|
한국사- 조선의 건국과 통체체제의 정비 (0) | 2020.10.17 |
한국사-고려의 발전과 변화 (0) | 2020.10.17 |
한국사- 통일신라와 발해 (0) | 2020.10.17 |
한국사-삼국과 가야의 발전 (0) | 2020.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