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17. 21:28ㆍ한국사 Korean history
1.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1) 명과의 관계
1 태조 대 : 정도전을 중심으로 요동 정벌을 추진하여 명과 긴장 관계 형성
2 태종 대 이후 : 왕권 확립과 국가 안정을 위해 사대 외교를 추진하며 친선 관계 유지 → 정기
적·비정기적으로 사절 교환, 문화적·경제적 교류 전개(정치적 안정을 추구한 실리 외교·선 진 문물 수용을 위한 문화·경제 외교)
2) 여진과의 관계
1 교린 정책
•회유책 : 여진족의 귀순 장려, 국경 지역에 무역소를
설치하여 교역 허용
•강경책 : 세종 때 4군 6진 지역 개척
2 사민 정책
•목적 : 북방 개척과 국토의 균형 발전 추구
•내용 :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의 백성을 북방으로 이주시킴
3) 일본 및 동남아시아와의 관계
1 일본과의 관계 : 교린 정책 추진
•강경책 : 세종 때 이종무가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 정벌
•회유책 : 3포를 개방하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교역 허용
2 기타 : 유구(류큐), 시암(타이), 자와(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와도 교류
2. 왜란의 발발과 극복
1) 임진왜란의 발발(1592)
1 배경 : 조선과의 제한된 교역에 대한 일본의 불만, 일본의 전국 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 요시의 대외 침략 욕구
2 발발 : 왜군의 조선 침략 → 전쟁 초기 관군의 잇따른 패배 → 선조가 의주로 피란하면서 명에
지원군 요청
2) 수군과 의병의 활약
1 수군의 활약 : 이순신이 남해 제해권을 장악하여 전라도 곡창
지대를 지키고, 황해를 통해 물자를 보급하려던 왜군의 작전
차단
2 의병의 활약 : 곽재우, 유정 등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이 익
숙한 지형과 그에 맞는 전술을 활용하여 왜군에 타격을 줌
3) 전란의 극복
1 전세의 역전 : 관군의 재정비, 명의 지원군 도착 → 조명 연합군의 반격으로 평양성 탈환, 왜 군을 경상도 해안 지방까지 밀어냄
2 휴전 회담 : 왜군의 제의로 휴전 회담을 진행했으나 결렬
3 정유재란(1597) : 왜군의 재침입 → 직산 전투와 명량 해전에서 왜군 격퇴
4 왜군의 철수 :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후 철수
4) 왜란의 영향
조선: 인구 감소, 농토 황폐화, 여러 문화재 소실 및 약탈당함
명: 왜란 참전으로 막대한 전쟁 비용 소모 → 국력 쇠퇴
여진: 왜란 이후 명의 쇠퇴를 틈타 성장하여 후금 건국 → 명·청 교체로 이어짐
일본: 도요토미 정권이 무너지고 에도 막부 성립, 조선에서 약탈한 문화재와 납치한 학자·기술자를 통해
성리학과 도자기 문화 발전
3. 호란의 발발
1) 광해군의 정치
전후 복구 사업
•양안과 호적을 다시 작성하여 국가의 재정 확충 노력
•농민의 공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경기도에 대동법 실시
대외 정책
•배경 : 명은 쇠약해지고 후금은 강성해지는 상황에서 명이 조선에 지원군 파병 요청
•내용 : 명과 후금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는 중립적인 외교 전개
2) 정묘호란의 발발(1627)
배경 •서인 주도의 인조반정(1623) → 광해군 축출, 인조 즉위, 서인 집권
•서인의 친명 배금 정책 추진으로 후금 자극
전개 후금의 조선 침략 → 인조의 강화도 피신, 관군과 의병의 항전 → 화의 성립
3) 병자호란의 발발(1636)
배경: 후금(청)이 조선에 군신 관계 요구 → 조선이 군신 관계 거부
전개: 청의 조선 침략 →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항전 → 두 주장의 대립 : 청과의 전투 지속(주전)과 청과의 화의(주화) → 청에 항복(삼전도의 굴욕)
결과 :청과 군신 관계 체결
4. 양 난 이후의 대외 관계
1) 청과의 관계
1 북벌 운동 추진 : 청에 대한 치욕을 씻기 위해 청을 정벌하려는 운동 → 효종이 송시열 등을 등 용→ 북벌 추진
2 북학론 대두
•계기 : 연행사를 통해 청의 발전 상황이 조선에 소개됨 → 18세기 이후 일부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북학론 제기
•내용 : 부국강병을 위해 청의 발달된 문물을 수용하자는 주장
3 백두산정계비 건립(1712)과 간도 영유권 문제
•배경 : 조선과 청 사이에 국경 분쟁 발생
•과정 : 숙종 때 압록강과 토문강을 경계로 국경을 확정하고 정계비 건립 → 19세기 후반에 토문강 위치에 대해 조선과 청이 간도 영유권 문제 발생
2) 일본과의 관계
1 국교 재개 : 왜란 이후 에도 막부 요청→ 국교 정상화
2 통신사 파견 : 에도 막부의 요청으로 대규모 외교 사절 파견 → 조선의 문화를 일본에 전파→ 일본 문화 발전
3 안용복의 영토 수호 활동 : 안용복이 울릉도에 침입한 일본 어민을 축출 →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 주장
'한국사 Korean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개화정책의 추진 (0) | 2020.10.17 |
---|---|
한국사- 조선후기의 사회변동과 문화의 새경향 (0) | 2020.10.17 |
한국사- 조선의 건국과 통체체제의 정비 (0) | 2020.10.17 |
한국사-고려의 경제.사회.문화 (0) | 2020.10.17 |
한국사-고려의 발전과 변화 (0) | 2020.10.17 |